영상 작업자의 낙서들
Videographer's doodles
18.7.6 Seoul.
  
렌즈를 통해 세상을 담는다, 갇힌다
Capturing the world through a lens, trapped.
21.11.3. Iceland.
  
카메라를 든 사나이(1929)는 짐벌을 들게 되었다
The Man with a Movie Camera(1929) got to hold a gimbal
21.11.3. iceland.
  
새로운 도구로 과거의 거인에 맞서다
Confronting the giants of the past with new tools
21.10.28. iceland.
  
나는 나의 도구를 닮는다
I resemble my tools
21.10.28. iceland.
  
-
  
나의 도구와 여정
My tools and journey
21.11.6. iceland.
  
미지의 세계들 촉감
The Touch of the Unknown Worlds
18.2.16. Jaisalmer.
  
부서질 것 같은 땅들
Lands that are about to crumble
21.11.6. iceland.
  
세상을 담는 것에 중독되어있다
Addicted to capturing the world
18.2.25. Goa.
  
땅에 붙어있는 존재가 하늘을 꿈꾼다
Being attached to the ground dreams of sky
1.11.5. iceland.   
  
하늘의 수 많은 별만큼 문장이 쓰여지고 잊혀졌다
Sentences were written and forgotten as many stars in the sky
21.11.5. iceland.
  
-
  
수만 개의 영화와 수억 개의 책
Tens of thousands of movies and hundreds of millions of books
21.11.5. iceland.
  
내가 창조한 별은 어떤 의미를 가질지
What will the stars I created mean?
21.11.5. iceland.
  
사막에서 밤을 새던 날
The day I stayed up all night in the desert
18.2.16. Jaisalmer.
  
일출과 낙타, 온 세상이 도와주는 느낌
Sunrise and camels, feeling like the whole world is helping
18.2.16. Jaisalmer.
  
-
  
창작은 구원, 저주
Creation is salvation, a curse
18.8.29. Seoul.
  
뻗는 손이 족족 잘리었다
Outstretched hands were cut off every time
18.8.29. Seoul.
  
잘린 손들의 무덤 위 외로움
Loneliness on the grave of severed hands
18.8.29. Seoul.
  
스쳐 간 작은 창조의 순간들을 기록한다   
Record the moments of small creations that pass by
19.7.18. Osaka.
  
작은 창조들을 사랑한다
Loving little creations
21.11.3. Iceland.
  
-

생과 사의 강물의 색은 깊고 어두웠다
The river of life and death was deep and dark.
18.2.22. Varanasi.   
  
불길처럼 빛나던 삶이 재로 흩날린다
The life that used to shine like fire is scattered with ashes
18.2.21. Varanasi.

죽음과 삶의 의미를 발명한다
Invent the meaning of death and life
18.2.22. Varanasi.   

그 발명은 죽음을 극복하는가?
Does that invention overcome death?
18.2.21. Varanasi.
  
옷이 털을 대체한다
Clothes replace fur
18.2.20. Varanasi.

낙원에서 뛰쳐나와 땅 위에 직립한다
Jump out of paradise and stand upright on the ground
18.2.20. Varanasi.
  
인간은 자연을 거스르고 이용한다
Human beings go against nature and use it
18.2.20. Varanasi.
  
생득적인 것이 획득적으로 치환된다
The innate is replaced by the acquired
18.2.21. Varanasi.   
  
두려웠던 자연을 길들인다   
Tame the feared nature
18.2.11. Agra.
  
번개와 나무의 줄기는 인간의 핏줄을 떠오르게 한다
Lightning and trunks remind us of human veins
18.2.11. Agra.
  
-
  
세상 모든 것에 균열을 내고 차이를 통해 인지한다   
Cracks everything in the world and perceives through differences
Perceiving everything in the world by creating cracks and understanding through differences.
21.11.5. Iceland.   
  
아름다움과 두려움은 미지라는 같은 곳에서 온다
Beauty and fear come from the same place, the unknown
21.11.2. Iceland.
  
여행은 미지를 인지로 치환한다
Travel replaces the unknown with cognition
21.11.4. Iceland.
  
세상의 모든 길은 순례길
Every road in the world is a pilgrimage
21.11.2. Iceland.
  
땅의 주름은 인간의 주름을 닮았다
The wrinkles on the ground resemble human wrinkles
21.11.6. Iceland.
  
나의 작업들이 나의 주름이 된다
My work becomes my wrinkles
21.11.6. Iceland.

-
  
글을 읽은 순간들을 사랑한다
I love the moments I read
18.6.4. Home.
  
무한히 깊게 침전할 수 있던 시간들
Times when I could sink infinitely deep
18.6.4. Home.
  
한 페이지가 넘어가고 있다
My page is turning over
19.9.14. Home.
  
고쳐쓸 수 없는 페이지가 넘어가고 있다
A page that cannot be rewritten
19.9.14. Home.
  
줌인되는 고통
The pain being zoomed in   
19.6.13. Seoul.
  
직시해야한다는 강박
the compulsion to confront
19.6.11. Seoul.   
  
나는 나의 도구를 닮는다
I resemble my tools
18.5.31. Home.
  
다시 손을 뻗어 세상을 담는다
Reach out again, and capture
18.2.25. Goa.
  
포착하지 못한 시간들을 그리워한다
Missing the times that couldn't be captured
18.7.4. Seoul.
  
강처럼 흐르는 의미들을 포착하고 고정한다
Capturing and anchoring the meanings that flow like a river
16.7.19. Italy.
  
내가 포획한 수많은 이미지가 넘치는 바다
The sea overflowing with countless of images that I captured
18.7.27. Seoul.
  
포착된 수많은 이미지들이 한데 뭉쳐진다
Captured images are lumped together
19.7.22. Osaka.
  
-
  
의미를 나눈다
Sharing the meaning
16.7.15. Florence.
  
함께 나아간다
Advancing together
16.7.5. Notre Dame.
  
나의 이미지들이 퍼져나간다
My images are spreading
16.7.18. Roma.
  
나의 이미지들이 타자와 만난다
My images meeting with others
16.7.24. Barcelona.
  
타자를 유혹한다
Seducing others
16.7.6. Paris.
  
타자와 접촉한다
Touching others
16.7.6. Paris.
  
창작의 의미는 타자와의 만남에 있다
The meaning of creation lies in meeting
21.11.7. Reykjavik.
  
함께 얘기할 무언가를 만드는 것
Creating something to have a conversation
21.10.31. Reykjavik.
  
함께 노래할 무언가를 만드는 것
Making something to sing together
21.10.31. Reykjavik.
  
서로의 목소리들이 공명한다
Our voices resonate with each other
21.10.31. Reykjavik.
  
나의 창작도 누군가부터의 공명
My creation is also an echo from someone else
16.7.18. Roma.
  
아름다움과 사랑
Beauty and love
16.7.18. Roma.
  
각기 다른 목소리이기에 가능한 하모니
It is the harmony made possible by distinct voices
16.7.18. Roma.
  
동시대성, 같은 시간에 함께 산다
Synchrony, living together at the same time
16.7.18. Roma.
  
어느 때보다 서로 연결 되어있다
Being more connected than ever
16.7.18. Roma.
  
-
  
창작은 인간의 지층이다
Creation is a stratum of humanity
16.7.21. Vatican.
  
과거는 현재의 재료가 된다
Past becomes the material of the present
16.7.21. Vatican.
  
작은 작품을 더 작은 화면 속에 넣고   
Putting small art into a smaller screen
16.7.5. Paris.
  
복제된 작품은 상징이 된다
Copied work becoming a symbol
16.7.5. Paris.
  
굳어진 조각을 딛고 하늘로 날아간다
Stepping on solidified pieces, soaring to the sky
16.7.21. Vatican.
  
굳어진 순간을 만들면서, 살아 있는 것을 사랑한다
Creating still moments, loving what is alive
18.5.25. Seoul.
  
창작으로 더 자유로워지는가?
Does one become more free by creating?
18.2.15. Jodpur.
  
-
  
날지 못하는 비행기처럼 늙어버리면 어떻게 될까
What happens if one ages like an airplane that can no longer fly?
21.11.3. Iceland.
  
날았던 순간을 기억하기에 더욱 고통스러울까?
Does remembering the moments of flying make it more painful?
21.11.3. Iceland.
  
왜 끝없이 부족할까?
Why is it endlessly insufficient?
16.7.6. Paris.
  
웅크린 분노는 창작으로 터진다
Crouched anger bursts into creation
21.10.26. Iceland.
  
창작은 금방 말라버릴 우물일까?
Is creativity a well that will soon dry up?
21.10.26. Iceland.
  
창작은 쓰면 쓸수록 커지는 근육일지?
Is creativity a muscle that grows bigger the more you use it?
21.11.2. Iceland.   
  
창작이 평가된다
Creativity is evaluated
16.7.24. Barcelona.
  
타자와 연결된다는 건 기적 같은 경험
Connecting with others is a miraculous experience
16.7.22. Barcelona.   
  
날 사랑하는 것 보다
More than loving myself
16.7.22. Barcelona.
  
내가 만든 것을 사랑하는 것이 더 좋다
It’s better to love what I created
16.7.13. Praha.
  
사랑은 합의된 폭력
Love is consensual violence
16.7.3. London.
  
서로의 영역 깊숙이 들어간다
Delving deeply into each other's domains
16.7.7. Paris.
  
춤처럼 합을 맞추는 것 같기도 하고
It feels like synchronizing in harmony, like a dance
18.2.9. New Delhi.
  
세상에 나와 당신만 남은 것 같다
Only you and me are left in the world
16.7.15. Venice.
  
끊임없이 서로를 엮고   
Continuously intertwining with each other
18.2.13. Udaipur.
  
이해하게 묶어주는 감정
binding us to understand
18.2.10. New Delhi.

-

사랑이 창작이 아닐까
Could love be a form of creation
18.2.20. Varanasi.
  
때로는 종교가 되고
At times, it becomes religion,
16.7.13. Praha.
  
때로는 학문이 되고
At times, it becomes science,
16.7.1. England.
  
때로는 아름다움이 되고
At times, it becomes beauty
16.7.22. Barcelona.
  
사라져버리기도 하지만
Sometimes, it fades away but
16.7.5. Notre Dame.
  
-

희망을 팔다
It sells hope,
16.7.13. Praha.
  
아름다움을 팔다
Sells beauty
16.7.22. Barcelona.
  
영상으로 작은 건축물을 세운다
Building small structures through videos
16.7.22. Barcelona.   
  
현존재
Exist in the presence
16.7.22. Barcelona.
  
타자
The others
16.7.22. Barcelona.
  
환대, 절망
Hospitality, despair
16.7.22. Barcelona.
  
-
  
타자와 폭력에 관하여
Regardings others and violence
21.11.5. Iceland.
  
굳은 믿음이 산산이 부서지는 순간이 있다
There are moments when firm beliefs are shattered
21.11.3. Iceland.
  
부서진 세계
The shattered world
21.11.3. Iceland.
  
균열들을 깊게 들여다본다
Looking deep into the cracks
21.11.3. Iceland.
  
검은 물속의 깊이를 헤아린다
Exploring the depths within the black water
21.11.3. Iceland.
  
베일이 벗겨지면서 드러난 인간의 민낯들
The unveiled human faces are revealed as it is lifted   
21.11.3. Iceland.
  
-
  
사람은 왜 서로를 미워할까
Why do people hate each other?
18.8.29. Korea.
  
타자의 환대는 허상
Hospitality of others is an illusion
18.8.29. Korea.
  
서로를 미워하는 것도 인간다움
Hating each other is also humanity
18.8.29. Korea.
  
내 안에 혐오스러운 면과 마주한다
Facing the disgusting side of myself
18.8.29. Korea.
  
무엇을 위한 자기혐오의 시간이었을까
What was the time of self-hatred for?
18.8.29. Korea.
  
-
  
박제된 폭력을 보존한다
Preserve stuffed violence
16.7.9. Germany.
  
사람은 죽었어도 행한 짓은 박제되어 기억된다
Even if a person dies, their actions are preserved and remembered   
16.7.9. Germany.
  
어떠한 행동이 아니라 존재가 죄라면
If existence rather than a specific action is considered a sin
16.7.9. Germany.
  
그 사람의 세계가 얼마나 외로웠을지 헤아려본다
I imagine how lonely that person’s world must have been
16.7.9. Germany.
  
뼈들이 뒤엉켜 있다
Bones are tangled
16.7.9. Germany.
  
철조망 안으로 제한된 새장
A cage confined within a barbed wire
16.7.9. Germany.
  
역사의 반복은 시시포스의 형벌
The repetition of history is the punishment of Sisyphus
16.7.9. Germany.

경계를 넘어 철조망을 찢어버리고 싶다
Transcend the boundaries and tear down the barbed wires
18.7.10. Seoul.
  
굳어버린 인간들을 모두 끄집어내어 함께 살고 싶다
Bring out all the hardened humans and live together
16.7.20. Pompeii.
  
-
  
어떤 날은 흉터처럼 남는다
Some days remain like scars
17.4.6. Mokpo.
  
어떤 날은 아침에 뉴스를 보던 순간부터
from the moment I saw the news in the morning
18.5.25. Seoul.
  
조명탄을 쏘며 수색한 밤까지
Until the night illuminated by flares is searched
17.4.6. Mokpo.
  
자고 일어나면 모두 구조되었길
May everything to be rescued when we sleep and wake up
17.4.18. Ansan.
  
권력이 바뀌자 배가 바다 위로 올라왔다
When the power changed, the ship came up to the sea
17.4.6. Mokpo.
  
-

간접 민주주의에서 정치인들은 중개상이 아닐까
In an indirect democracy, politician is intermediaries
16.10.29. Seoul.
  
민주주의는 그저 마케팅 슬로건일까
Democracy is just a marketing slogan
16.10.29. Seoul.   
  
내가 처음 본 혁명
The first revolution I’ve ever seen
17.5.9. Seoul.
  
모레처럼 흩어지던 개인이 단단한 바위가 되는 순간
The moment when individuals, scattered like sand, become a solid rock
17.5.9. Seoul.
  
사람이 만든 강, 리바이어던을 만난다
Encountering the man made river, Leviathan
16.10.29. Seoul.
  
긴 역사에서 매우 드문 민주 혁명을 목격한다
Witnessing a rare democratic revolution in history.
16.10.29. Seoul.
  
사람이 만든 물결이 빛나고 있었다
Man-made waves were shining
17.4.29. Seoul.
  
-
  
촬영하며 처음 집단폭력을 당한 날
The day I first experienced mass violence during a film shoot
17.3.10. Seoul.
  
사랑한 태극기가 나를 짓밟았다
Beloved Taegeukgi trampled on me
17.3.10. Seoul.
  
여럿이 모이면 폭력은 더욱 쉬워진다
Violence becomes easier when people gather
17.3.10. Seoul.
  
그들을 미워하지 않았으면 한다
I hope you don’t hate them
17.3.10. Seoul.   

나의 영상이 그 사람들을 조롱하고 비난하는 데 사용되었다
My video was used to mock and criticize those people
17.2.4. Seoul.
  
폭력을 줄이고자 찍은 영상이 폭력의 도구로 이용당한다
The footage I took to reduce violence is being used as a violent tool.
17.3.30 Seoul.
  
사람들은 미디어에다 대고 쉽게 욕을 한다
People easily curse at others through media
17.3.30. Seoul.
  
이해와 비난 두 갈래 길
A forked road of understanding or criticism
17.4.16. Ansan.
  
-
  
나는 폭력을 확대 재생산하는 게 아닐까?
Am I not perpetuating the amplification of violence?
18.5.25. Seoul.   
  
그저 담는 걸로는 부족하다   
It is not enough to just merely capture
18.5.25. Seoul.
  
나의 표현은 누군가에겐 폭력일까?
Could my expression be violence to someone else?
21.5.27. Seoul.
  
그림자들을 사랑하면서도 없애고 싶어 한다
I love shadows, but I also want to get rid of them.
18.2.16. Jaisalmer.
  
니체는 낙타를 과소평가했다
Nietzsche underestimated the camel
18.2.16. Jaisalmer.
  
거대한 자연을 메말려 죽이는 사막 위를 걷는다
I walk upon the desert that engulfs and kills nature
22.5.6 Los Angeles.

창작에는 책임이 뒤따른다
Creating comes with responsibility
19.4.3. Jodpur.   
  
표현에도 자격이 필요한가?
Does expression require qualification?
18.2.20. Varanasi.
  
침묵하면 미움받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Can you avoid hate by being silent?
18.2.20. Varanasi.
  
방황은 표현할 자격을 부여해주는 걸까?   
Does wandering grant the right to express yourself?   
18.2.25. Goa.
  
-

방황 끝에 수천번 다듬은 글은 마모되어 사라져간다   
At the end of wandering, the meticulously created words fade and vanish
21.11.3. Iceland.
  
허무했던 광야 위에 창조는 하늘을 뚫고 우뚝 서 있다
Amidst the empty wilderness, creation stands tall, piercing through the sky
18.2.12. Agra.

오래 남는 작업을 하고 싶다
I want to create work that lasts long
22.12.24. Arizona.

거대한 조각물 앞에 사람을 더욱 사랑할 수 있길
May one love others even more in front of a colossal sculpture
22.12.24. Arizona.

여러 경험들이 나에게 지층처럼 쌓인다
Various experiences stack up within my like layers
22.12.23. Arizona.

오랫동안 쌓인 시간을 천천히 들여다본다
I slowly examine the time that ha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22.12.23. Arizona.

하늘이 쪼개지고 빛이 들어와
The sky is parting with light streaming in
22.9.1 Hawaii.

나의 갈 길을 비추어주고 있다
The illuminating path ahead of me
22.9.3 Haleakala.

어둠이 서서히 걷히고 있다
The darkness is gradually dissipating
21.10.28 Iceland.   

카메라는 내 수줍음을 파괴한다
The camera destroys my shyness
19.7.22. Osaka.
  
지구 반대편에 이야기를 담고
Carrying stories to the other side of the world
23.3.9. Niger.
  
마음을 전달하고
Conveying the heart, and
23.3.8. Niger.
  
마음을 이어준다
Connecting the heart
23.3.8. Niger.

서로가 서로를 만나 의미를 지탱한다
We meet each other and sustain the meaning
23.3.8. Niger.

혼자였던 존재가 함께 허무를 헤쳐 나간다
A being who was once alone, transverses emptiness together
23.3.8. Niger.
  
-
  
포장이 아름답지 않으면 내용이 전달되지 않는 걸까?
Does the content fail to be delivered if the packaging is not beautiful?
23.3.9. Niger.
  
타자를 향해 나아간다
Move towards others
23.3.9. Niger.
  
타자에게 의존하는 도구에 감사한다
Appreciate tools that depend on others   
18.2.9 New Delhi.
  
나란 도구의 쓰임을 찾는다
I find my own purpose as a tool
18.2.9 New Delhi.
  
아름다운 얼굴들을 마주한다
I encounter beautiful faces
18.2.9 New Delhi.
  
여정에서 작은 의미를 발견하며
Discovering small meanings along the journey
18.2.11 Agra.
  
타자를 향해 나아간다
Move towards others
18.2.9 New Delhi.
  
서로를 연결한 철학을 사랑하고
Love the philosophy that connects us, and
18.2.9 New Delhi.
  
서로를 연결한 역사를 경외한다
Stand in awe at the history that has connected us
18.2.15 Jaisalmer.
  
나의 영상도 촛불이 되어
If my video becomes a candle and
18.2.15 Jodpur.

어둠을 조금 몰아낼 수 있다면
eliminates the darkness a little
18.2.15 Jodpur.
  
현존재, 타자
Dasein, the others
18.2.9 New Delhi.
  
환대, 절망
Hospitality, despair
18.2.13 Udaipur.
  
-
  
연약한 나의 몸으로 창조의 그림자를 지고 나아갈 수 있기를
Hope I can move forward with the shadow of creation upon my fragile body
21.11.3. Iceland.
  
뒤돌아보며 나아간다
Move forward while looking back
21.11.2. Iceland.
  
강박적 반성은 나의 정체성
Compulsive reflection is my identity
21.11.2. Iceland.
  
나의 경계의 한계를 탐구한다
Explore the limits of my boundaries
21.11.5. Iceland.
  
사춘기의 감정을 더 이상 쓸 수 없듯
Just like how we can no longer use the emotions of adolescence
21.11.3. Iceland.
  
표현에 시기가 있는 게 아닐까?
Perhaps there is a time for expression?
21.11.5. Iceland.
  
욕망하지 않기를 욕망한다
Desire to not desire
18.7.5. Korea.
  
넘쳐흐른 표현의 욕구를 주워 담는다
I collect the overflowing desire for expression
18.7.5. Korea.
  
가질 수 없는 것을 잡으려 하고 원한다
I desire to grasp what I can't have
18.7.5. Korea.
  
방황하고 흔들리며 부족한 글들이 써 내려진다
Wandering and faltering, the lacking words are written down.
21.11.5. Iceland.
  
가질 수 없는 것을 잡으려 하고 원한다
I desire to grasp what I can't have
18.7.5. Korea.
  
다신 쓸 수 없는 소중한 어린 생각들을 적어놓는다
I write down precious young thoughts that I can't express again
18.5.31. Home.
  
시각철학
Visual Philosophy
21.11.5. Iceland.

You may also like

Back to Top